생활정보 / / 2020. 5. 18. 16:38

6월 항쟁

6월 항쟁 알아보기

518 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여러 사람들이 419혁명과 부마민주항쟁, 518 민주화운동과 더불어 6월 항쟁과 촛불혁명을 언급하면서 이러한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헌법 전문에 계승해야 할 역사로 남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렇다면 6월민주항쟁의 역사적 의미는 무엇일까요. 

 

민주화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1987년 1월 서울대 학생 박종철이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국민의 직선제 개헌운동이 이 사건으로 심화되자 정부는 헌법 개정을 반대하는 담화 4 13 호헌 조치를 발표하는데요. 이 두 사건 이후 직선제 개헌과 민주화 시위가 전국으로 퍼지게 되는 민주화 운동을 6월 항쟁으로 부르게 됩니다. 

배경

무려 17년 간 박정희가 독재정치를 펼쳐오던 중 1979년 10 26 사건으로 사망하게 되고 전두환 등을 비롯한 신군부가 군사반란으로 실권을 쥐면서 집권하려는 의욕을 드러냅니다. 광주에서 민주화 운동이 시작되자 이를 무력으로 유혈 진압한 518 민주화 운동 이후 전두환이 통일주체국민회의 간접 선거로 새 대통령에 취임하게 됩니다. 

경과

계속되는 민주화 운동 속에서 1987년 1월 경찰의 고문으로 서울대 재학생 박종철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이런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쓰러졌다고 거짓으로 사망원인을 발표하기도 합니다. 전두환은 대통령 특별담화를 발표하며 개헌 논의를 유보하겠다고 밝힌 4 13 호헌조치 이후 각계 인사들이 이를 비판하는 시국 성명을 발표하게 됩니다.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가 전국적으로 자주 일어났으며 6월 9일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연세대 학생 이한열이 부상을 입고 사망하게 됩니다. 민주화 항쟁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지속되었으며 6월 26일 국민평화대행진에 전국 34개 도시 4개 군에서 130여만 명의 시민과 학생이 거리로 나오게 됩니다. 이후 6 29 선언으로 대통령 직선제로의 개헌이 되어 1987년 12월 16일 대통령 직선제 선거가 치러집니다.

 

경찰 최루탄에 맞아 피 흘리는 이한열

6월 항쟁 결과

6월 항쟁은 전두환 정권이 출범한 이후 우리의 민주화에 대한 열기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으로 대한민국 민주화에 아주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절차적 민주주의가 뿌리내릴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등 민주 사회로 가는 출발점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국민주권, 직접선거, 삼권분립 등 민주주의 기본 원칙이 지금 우리가 누리는 사회에 있게 된 계기가 바로 6월 항쟁입니다. 

 

6월항쟁 관련 사진 보기

 

 

6월 항쟁 관련 자료 더 보러가기

 

518 민주화운동 알아보러 가기

 

6월민주항쟁 30주년 기념영상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